□ 매체 및 보도일자 : L'Express지 (1.15)
□ 주요내용
ㅇ (주요 내용) 한국이 그동안 ▲수출중심적 개방 경제 ▲혁신 분야에 대한 국가의 전략적 투자 등을 바탕으로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룩해왔으나, 최근 경제 성장 전망을 2024년 2.1%에서 2025년 1.8%로 하향 조정하는 등 도전에 직면해있음.
- 한국 경제는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 경제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주요 산업에서의 경쟁 심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보호주의 확산, ▲저출생 및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부족 등의 구조적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음.
- 한국 정부는 이러한 도전에 대응하여 AI, 바이오, 양자와 같은 게임체인저 산업을 육성하고, 해외 인재 유치 및 일·가정 양립 지원 등의 인구정책을 적극 시행하여 대응해 나가고 있음.
ㅇ (특기 사항) 동 기사는 가난과 전쟁을 딛고 발전한 한국 경제가 1997년 외환위기에도 불구하고 견고한 경제 펀더멘털을 유지하며 성장하여 선진국 반열에 올랐고, 한류 등 소프트파워의 승리를 거둔 점을 평가하면서도,
- 대외경제 의존도가 높은 한국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관세 부과 등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적시 대응하는데에 있어 국내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을 우려가 있다고 지적한 부분은 특기할만함.
3. 상기 인터뷰 기사는 정부 주도의 핵심 산업 육성과 수출 중심의 경제 정책을 바탕으로 지난 50여년간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룩한 한국이 최근 보호무역주의 확산과 인구구조적 문제에 직면해 어떤 정책적 대응을 해나가고 있는지에 대한 주재국 내 관심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됨.
ㅇ 향후 우리 대사관은 외신 및 주재국 인사를 대상으로 우리나라의 경제 상황 및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적극 알려나갈 예정임.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