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독일] 경제 주간 동향 ('25.03.24.-28.)

부서명
유럽경제외교과
작성일
2025-04-02
조회수
62

(정보제공 : 주독일대사관)



독일 경제 주간 동향 ('25.03.24.-28.)



1. 독일 거시경제


① 독일경제연구소(IW), 재정 패키지로 인한 인플레이션 위험성 경고 (Tagesspiegel)


ㅇ 독일경제연구소(IW)는 국방 및 인프라 투자를 위한 대규모 재정 패키지가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함.


    - IW는 정부가 부채를 기반으로 지출을 확대할 경우 동 지출로 발생하는 추가 수요를 기존 공급 능력이 감당하지 못하여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다고 분석


    - 또한, IW는 재정 패키지로 인해 국가 부채 비율이 GDP 대비 현재 63%에서 2037년까지 85%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


ㅇ IW는 재정 지출이 실질적인 경제 성장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충분한 노동력 확보, △사회보장 지출 절감, △규제 및 관료주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이를 위한 구조 개혁을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함.


    - 특히 인프라 투자는 효과가 중장기적으로 나타나는 만큼 정부가 단기간 내 대규모 자금을 투입할 경우 초기에 수요 증가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박력이 커질 수 있다고 경고


② 연방헌재, 현행 통일연대세 합헌 결정 (tagesschau)


ㅇ 자민당(FDP) 의원 6인이 연방헌법재판소에 제기한 통일연대세(2021년부터 최고소득자에게만 적용) 위헌 소송 관련, 연방헌재는 3.26(수) 통일연대세가 이전에도 그렇고 2021년 수정된 現 형태로도 모두 합헌이라고 하면서 연방정부는 연대세를 계속 부과할 수 있다고 판결함.


      ※ 통일연대세는 독일 통일 직후(1991년) 동독지역과 서독지역간 경제격차를 줄이고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7.5% 세율로 1년간 한시적으로 도입되었으나, 통일비용이 급증하자 1995년 부활하여 5.5% 세율로 전국민에게 적용


         - 2021.1월부터는 고소득자 10%를 제외한 나머지 국민들에 대해서는 통일세 폐지


    - 다만, 연방헌재는 연대세가 원칙적으로는 무기한 부과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며, 입법기관에 통일로 인한 추가적 재정 부담이 발생하는지 정기적으로 점검할 의무 부과


ㅇ 자민당은 판결에서 패배했음에도 불구하고 통일로 인한 추가적 재정 요구가 사라지면 연대세가 폐지될 것이라고 낙관하며, 연대세의 즉각적인 폐지가 정치적으로 올바른 것이라고 하면서 차기 연방정부에 연대세 폐지를 촉구함.


      ※ 연대세를 고수하고자 하는 사민당과 달리, 기민당과 기사당은 선거운동 기간 중 근로자와 회사의 부담 경감을 위해 연대세 폐지를 촉구하였는바, 향후 3당이 현재 진행 중인 연정협상에서 동 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지가 관건이 될 전망


③ 3월 실업률 소폭 감소 (tagesschau)


ㅇ 연방노동청(BA)에 따르면 독일 노동시장의 봄철 회복은 미미한 수준에 그쳐 3월 실업자 수는 전월 대비 22,000명이 감소한 296만7천명으로 집계되었으며, 금년도 3월 실업률 감소폭은 2009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함.


    - 올해 3월 실업자 수는 지난해 3월의 실업자 수와 비교시 198,000명이 증가했으며, 실업률은 전월과 동일한 6.4% 기록


ㅇ 날레스(Andrea Nahles) 노동청장은 일반적으로 노동시장의 봄철 회복이 3월에 시작되지만 올해는 경기 침체로 회복이 눈에 띄게 둔화되고 있다고 언급함.


2. 공급망/산업정책/EU


가. 자동차/배터리


① 유럽의 對미 자동차 수출 29% 감소 예상 (Welt, Handelsblatt)


ㅇ 회계감사 및 경영컨설팅사인 딜로이트에 따르면, 미국 정부의 외국산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부과로 독일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의 對미 수출이 29%까지 급감할 가능성이 있음.


    - 딜로이트 글로벌 자동차 사업부 책임자는 독일 기업들이 2024년 미국에서 130만대의 자동차를 판매하였으며, 미국에 자체 공장을 두고 있는 독일 자동차 업체들의 경우도 현지 공장의 가동률이 이미 70%에 달하기 때문에 미국으로 생산시설을 추가 이전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고 분석


ㅇ 커니 경영컨설팅사는 자동차 제조업체와 공급업체의 매출이 최대 171억 달러 감소할 것이라고 우려함.


    - 커니는 유럽에서 미국으로 매년 약 640,000대의 차량이 수출된다고 하고, 자동차 관세는 특히 폭스바겐, BMW, 메르세데스-벤츠, 스텔란티스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


    - 한편, 미국의 관세가 미국 소비자에게 전액 전가될 경우 미국내 수입차 가격이 크게 올라 수입차, 그 중에서도 전기차에 대한 수요가 감소할 것이라고 진단


    - 반면, 제조업체가 관세로 인한 비용을 부담하고 일부를 공급업체에 전가할 경우 이는 유럽 자동차 업체에 큰 재정적 부담이 되어 최대 30,000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위험에 처할 수 있다고 설명


ㅇ 다만, 킬 세계경제연구소(IfW)는 자동차 관세 부과가 독일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GDP가 0.18% 하락)일 것이라는 분석을 발표함.


    - IfW의 힌츠(Julian Hinz) 교수는 최근 수년간 여러 독일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미국에서 생산 능력을 확보하여 현지에서 제품을 생산, 공급하고 있다고 하고, 독일에서 생산된 차를 미국에 수출하는 경우는 드물다고 설명


② 독일 산업계, 미국의 자동차 관세 부과로 일자리 위협 우려 (Spiegel)


ㅇ 독일 정치권에서는 미국의 수입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부과 발표에 대해 큰 우려가 제기되고 있음.  


    - 뷔스트(Hendri Wuest)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NRW) 주총리는 자동차 관세로 독일과 유럽의 중심 산업지역인 NRW 내 수많은 공급업체들의 일자리가 위협을 받을 것이라며, 여러 국가들이 가능한 빨리 파트너십에 기반한 무역관계를 회복해야한다고 강조


    - 크레취만(Winfried Kretschmann) 바덴-뷔르템베르크주(BW) 주총리는 EU가 동 조치에 단호하고 소신있게 대응하는 동시에 미국과 공동의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면서, 합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대서양 양쪽에서 가격상승으로 소비자들만 고통받을 것이라고 언급


    - 바일(Stepahn Weil) 니더작센주 주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조치는 모든 이해관계자들에게 경제적 피해를 발생시킬 것이라고 하고, 무역전쟁에 승자는 없으며 패자만 있을 뿐이라고 경고


ㅇ 독일산업협회(BDI)의 니더마크(Wolfgang Niedermark) 이사는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 부과는 유럽 자동차 산업에 엄청난 압박을 가하고 북미 전역에 긴밀하게 얽혀있는 생산 네트워크에도 큰 부담을 줄 것인바, EU 집행위가 미국과 지속적으로 협상하며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촉구함.


③ 유럽 전기차 시장 성장세 (HB)


ㅇ 유럽자동차제조업체(ACEA)에 따르면 올해 1-2월 중 EU 내 신규 자동차 등록 건수가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전기차 신규 등록 건수는 25% 증가한 255,489대에 달했으며, 2월 말 현재 전기차의 시장점유율은 15.2%에 달함.


ㅇ EU 내 신규 등록된 자동차수는 올해 초 약세를 보인 후 2월까지도 회복되지 않았는바, 2월 신차 등록대수는 853,670대로 지난 해 대비 3.4% 감소함.


    - 폭스바겐 그룹, 르노, BMW에 대한 수요는 증가한 반면, 메르세데스-벤츠 및 스텔란티스그룹(피아트, 푸조, 오펠)에 대한 수요는 감소


④ EU 내 테슬라 판매량 약 50% 감소 (Zeit)


ㅇ CEO 머스크의 정치 활동으로 테슬라의 유럽 내 이미지가 추락하면서 테슬라의 1-2월 유럽 시장 매출이 거의 절반 수준으로 감소함.


    - 유럽자동차제조업체(ACEA)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2월 테슬라 자동차의 EU 내 신규 등록건 수는 전년 대비 49% 감소한 약 20,000대에 그쳤으며, 시장 점유율은 1.1% 기록


ㅇ 독일 내 테슬라 판매량 감소폭도 상당한바, 금년 1월에는 신규 등록건수가 59%, 2월에는 76% 각각 하락함.


    - 또한, 드럭스토어 로스만(Rossmann), 에너지 공급업체들을 비롯한 일부 독일 기업들은 테슬라와 회사차량 공급 계약을 해지


ㅇ 독일 그륀하이데 테슬라 공장은 유럽 내 주문 급감에도 불구하고 수요 감소에 따른 생산 축소 가능성을 부인하고 있음.


    - 테슬라 경영진은 생산 감소는 1월부터 진행된 조립라인 개편 때문이며, 일각에서 제기되는 생산 중단이나 인력 감축, 단축 근무 계획은 없다는 입장


⑤ 삼성물산-성일하이텍, 독일 튀링엔주 배터리 재활용 공장 설립 계획 철회 (ntv)


ㅇ 한국의 배터리 재활용 전문 기업인 성일하이텍과 삼성물산의 합작 법인은 독일 튀링엔주 게라에 추진 중이던 대규모 배터리 재활용 공장 설립 계획을 철회함.


    - 세계 경제 상황이 불확실한 점, 프로젝트 완성까지 오랜 기간이 소요되는 점(2027년 이전 공장 가동 불가능), 전기차 배터리 수요가 감소하는 추세인 점, 환경문제로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거센 점 등이 사업 철회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상황


나. 산업정책/산업동향


① Ifo 기업환경지수 상승 (Spiegel)


ㅇ 3월 Ifo 기업환경지수는 86.7 포인트로, 3개월 연속 상승함(1월: 85.2, 2월: 85.3).


    - 기업환경지수가 지속 상승하고 있는 이유는 기민/기사연합과 사민당이 수천억 유로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이며, 최근 채택된 재정 패키지가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고조시킨 것으로 평가


    - 금융서비스업체 S&P글로벌의 조사에 따르면, 독일 경제가 지난 2년간 지속된 경기 침체에서 회복되었으며, 3월에는 3개월 연속 성장세를 보일 가능성 다대


ㅇ 기업들은 현재 상황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으며, 특히 건설업계의 분위기가 긍정적임.


    - 단, 이러한 분위기는 다시 빠르게 전환될 수 있으며, 유럽산 제품에 대한 미국의 징벌적 관세가 독일의 경제 성장을 둔화시킬 가능성 상존


    - 또한,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Ifo 지수는 여전히 매우 낮은 수준


② 독일, 특허 출원에서 미국에 이어 2위. 기업 순위에서 삼성 1위 (tagesschau)


ㅇ 유럽특허청(EPO)의 발표에 따르면, 2024년 유럽에서 독일은 25,033건의 특허를 출원했으며(전년 대비 0.4% 증가), 미국은 47,787건의 특허를 출원하여 선두를 유지함(총 특허 출원건수: 199,264건).


      ※ 3위 일본, 4위 중국, 5위 한국 등


ㅇ 독일은 자동차 산업뿐만 아니라 철도, 항공, 우주 산업을 포함한 운송 부문에서 특히 좋은 성과를 거둔 것으로 관찰됨.


    - 독일의 특허 출원은 머신 러닝, 패턴 인식 등 AI 분야를 포함하는 컴퓨터 관련 분야에서 앞서고 있으며, 전기 기기, 장비 및 에너지 분야의 등록도 8.6% 증가


ㅇ 한편,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한 기업은 삼성이며, 2위는 화웨이, 3위 LG가 차지하였고, 독일 기업인 지멘스와 BASF는 각각 6위와 7위를 차지함.


③ 독일 IT 기업 SAP, 유럽 시총 1위 기업으로 자리매김 (SZ)


ㅇ 독일의 글로벌 소프트웨어 기업인 SAP는 덴마크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를 제치고 유럽에서 가장 시가총액이 높은 회사로 등극함.


    - SAP의 시가총액은 3.160억 유로이며, 노보 노디스크는 약 3,080유로


ㅇ SAP은 최근 스포트웨어의 클라우드 전환 및 생성형 AI 통합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으며, 주가는 지난 12개월간 약 40% 급등


3. 기후·에너지


① 녹색에너지 공급업계, 에너지 전환 축소 경고 (Spiegel)


ㅇ 독일 녹색 전력 공급업체들은 기민/기사연합과 사민당 연정협상단에 에너지 전환 축소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담은 서한을 긴급 발송함.


ㅇ 최근 독일 전력회사 E.on과 RWE를 비롯한 독일산업협회(BDI), 지방공기업연합(VKU), 주요 컨설팅사들은 향후 수년간 전력 수요에 대한 정부의 전망치가 과도하게 높다고 하면서 불필요한 송전망 확장 계획 축소를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주장함.


ㅇ 이에 대해 녹색 전력 공급업체들은 현재 수요가 낮은 것은 일시적인 경기 침체에 따른 결과이며, 경기가 회복되면 에너지 수요는 증가할 수밖에 없다고 반박함.


    - 또한, 동 업체들은 단기적인 수요 지표를 바탕으로 에너지 전환을 후퇴시켜서는 안 되며, 전력 인프라 확충은 장기적 기후 목표 달성을 위한 필수적 기반이라고 강조.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